AI기술로 컬러 복원된 독립 운동가

안녕하세요
이번에 국가보훈처에서 3·1절을 맞아 독립운동가의 흑백사진을 인공 지능 기술로 컬러 실사로 복구했다고합니다.

김구(1876-1949)
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무령·주석 등을 역임했다.
한인애국단 의거를 주도하고 한국광복군을 창군하였다.
▪나의 소원은 우리나라 대한의 완전한 자주독립이오

김좌진(1889-1930)
대한광복회 부사령관으로 활약하고 만주로 건너가 독립군을 지도했다.
북로군정서 사령관으로서 1920년 청산리대첩을 승리로 이끌었다.
▪삼천리 금수강산에 왜놈이 웬 말인가 단장의 아픈 마음 쓸어버릴 길 없구나.

베델(1872-1909)
1904년 영국 기자로 내한하여 대한매일신보를 발행했다.
언론으로 일본의 경제침탈을 비판하고 국내외 독립운동을 보도했다.
▪나는 죽을지라도 대한매일신보는 영생케 하여 한국민족을 구하게 하시오

송진우(1890-1945)
일본 유학 후 1921년부터 동아일보 사장으로 취임하여 언론운동을 전개하고, 민립대학설립운동을 지원했다.
▪옥중에 갇힌 몸이 밤마다 잠 못 이루니 나라 근심에 상한 마음 몇몇해나 쌓였던고

안중근(1879-1910)
교육사업과 의병운동을 전개하고 단지동맹을 결성했다.
1909년 10월 26일 한국 침략의 원흉인 이토 히로부미 암살에 성공하였다.
▪나라를 위하여 헌신하는 것이 군인의 본분이다

안창호(1878-1938)
대한인국민회 총회장에 선출되었고 청년단체 흥사단을 조직했다.
대한민국임시정부의 노동국 총판 및 내무총장 등으로 활동했다.
▪낙망(落望)은 청년의 죽음이요, 청년이 죽으면 민족이 죽는다

유관순(1902-1920)
1919년 서울에서 3·1만세운동에 참여하고,
천안 아우내장터 만세시위를 주도했다.
▪나라에 바칠 목숨이 오직 하나밖에 없는 것만이 소녀의 유일한 슬픔입니다.

위대한 순국선열의 독립정신과 희생정신으로 대한민국을 지켜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.
절대 잊지않겠습니다.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.